프로그램 설명
- 직무스트레스요인 측정 지침(KOSHA GUIDE H-67-2022)에서 제시한 한국인 직무스트레스요인 측정도구를 구현한 애플리케이션입니다.
- 기본사항과 설문조사 기입 완료 후 평가하기 버튼을 누르면 결과가 확인됩니다.
- 직무스트레스 정도를 확인할 수 있으며, 그 결과를 내려받기 할 수 있습니다.
- 사용하기 전 하단의 법적 고지를 읽고 사용하시기 바랍니다.
입력
기본사항
설문조사
* 아래의 설문은 귀하의 직무 수행과정에서의 직무스트레스 수준을 평가하기 위한 것입니다. 최근 한 달동안의 느낌과 경험을 토대로 응답하여 주시길 바랍니다.
결과
-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평가표는 대상 근로자의 실제점수와 회사(또는 부서) 평균점수 및 전국 근로자의 4분위수를 제시한 것으로 대상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 점수가 어떤 범위에 포함되는가를 비교할 수 있습니다.
- 참고치 상위25% : 전국 근로자중 직무스트레스가 높은 상위 25%에 해당하는 점수를 나타냄
- 각 항목의 직무스트레스 점수가 어떤 범위에 포함되는가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참고치의 점수가 낮은 방향으로의 관리가 필요합니다.
* 한국산업안전공단 기술자료 <직무스트레스 평가 관리>에서 발췌
표 다운로드
* 개인정보보호를 위해 이름과 식별번호는 표 다운로드 후 작성하세요.
직무스트레스관리(KOSHA GUIDE 모음)
직무스트레스요인 평가
- 정의
- '직무스트레스요인(Job stressor)'이라 함은 작업과 관련하여 생체에 가해지는 정신적,육체적 자극에 대하여 체내에서 일어나는 생물학적,심리적,행동적 반응을 유발하는 요인을 말한다.
- '측정도구'라 함은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이 외부연구진과 공동 개발한 표준화된 '한국인 직무스트레스요인 측정도구'를 말한다.
- 대상자
- 제669조(직무스트레스에 의한 건강장해 예방 조치) 사업주는 근로자가 장시간 근로, 야간작업을 포함한 교대작업, 차량운전[전업(專業)으로 하는 경우에만 해당한다] 및 정밀기계 조작작업 등 신체적 피로와 정신적 스트레스 등(이하 “직무스트레스”라 한다)이 높은 작업을 하는 경우에 법 제5조제1항에 따라 직무스트레스로 인한 건강장해 예방을 위하여 다음 각 호의 조치를 하여야 한다.
- 작업환경ㆍ작업내용ㆍ근로시간 등 직무스트레스 요인에 대하여 평가하고 근로시간 단축, 장ㆍ단기 순환작업 등의 개선대책을 마련하여 시행할 것
- 작업량ㆍ작업일정 등 작업계획 수립 시 해당 근로자의 의견을 반영할 것
- 작업과 휴식을 적절하게 배분하는 등 근로시간과 관련된 근로조건을 개선할 것
- 근로시간 외의 근로자 활동에 대한 복지 차원의 지원에 최선을 다할 것
- 건강진단 결과, 상담자료 등을 참고하여 적절하게 근로자를 배치하고 직무스트레스 요인, 건강문제 발생가능성 및 대비책 등에 대하여 해당 근로자에게 충분히 설명할 것
- 뇌혈관 및 심장질환 발병위험도를 평가하여 금연, 고혈압 관리 등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시행할 것
- 측정 항목
- 측정도구는 모두 43개 문항으로 구성되며, <별표 1>에 제시되어 있다. 43개 문항으로 측정하고자 하는 직무스트레스요인은 물리적 환경, 직무 요구, 직무자율, 관계 갈등, 직무 불안정, 조직 체계, 보상 부적절, 직장문화 등 8개 영역이다.
- 물리적 환경 영역
- 직무 요구 영역
- 직무 자율 영역
- 관계 갈등 영역
- 직무 불안정 영역
- 조직 체계 영역
- 보상 부적절 영역
- 직장 문화 영역
- 한국인 직무스트레스요인 측정도구항목 <별표 1>
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[시행 2021. 11. 19.] [고용노동부령 제337호, 2021. 11. 19., 일부개정]
근로자가 노출되고 있는 직무스트레스를 야기할 수 있는 환경요인 중 사회심리적 요인이 아닌 환경 요인을 측정하며, 공기오염, 작업방식의 위험성, 신체부담 등이 이 영역에 포함되고, 측정도구의 1-3번 문항이 여기에 해당된다.
직무에 대한 부담 정도를 측정하며, 시간적 압박, 중단 상황, 업무량 증가, 책임감, 과도한 직무부담, 직장 가정 양립, 업무 다기능이 이 영역에 포함되고, 측정도구의 4-11번 문항이 여기에 해당된다.
직무에 대한 의사결정의 권한과 자신의 직무에 대한 재량활용성의 수준을 측정하며, 기술적 재량, 업무예측 불가능성, 기술적 자율성, 직무수행권한이 이 영역에 포함되고, 측정도구의 12-16번 문항이 여기에 해당된다.
회사 내에서의 상사 및 동료 간의 도움 또는 지지 부족 등의 대인관계를 측정하며, 동료의 지지, 상사의 지지, 전반적 지지가 이 영역에 포함되고, 측정도구의 17-20번 문항이 여기에 해당된다.
자신의 직업 또는 직무에 대한 안정성을 측정하며, 구직기회, 전반적 고용불안정성이 이 영역에 포함되고, 측정도구의 21-26번 문항이 여기에 해당된다.
조직의 전략 및 운영체계, 조직의 자원, 조직 내 갈등, 합리적 의사소통 결여, 승진가능성, 직위 부적합을 측정하며, 측정 도구의 27-33번 문항이 여기에 해당된다.
업무에 대하여 기대하고 있는 보상의 정도가 적절한 지를 측정하며, 기대 부적합, 금전적 보상, 존중, 내적동기, 기대 보상, 기술 개발기회가 이 영역에 포함되고, 측정도구의 34-39번 문항이 여기에 해당된다.
서양의 형식적 합리주의 직장문화와는 다른 한국적 집단주의 문화 (회식, 음주문화), 직무갈등, 합리적 의사소통체계 결여, 성적차별 등을 측정하며, 측정도구의 40-43번 문항이 여기에 해당된다.
설문내용 |
---|
물리적환경 |
1. 근무 장소가 깨끗하고 쾌적하다. |
2. 내 일은 위험하며 사고를 당할 가능성이 있다. |
3. 내 업무는 불편한 자세로 오랫동안 일을 해야 한다. |
직무요구 |
4. 나는 일이 많아 항상 시간에 쫓기며 일한다. |
5. 현재 하던 일을 끝내기 전에 다른 일을 하도록 지시 받는다 |
6. 업무량이 현저하게 증가하였다. |
7. 나는 동료나 부하직원을 돌보고 책임져야 할 부담을 안고 있다. |
8. 내 업무는 장시간 동안 집중력이 요구된다. |
9. 업무 수행 중에 충분한 휴식(짬)이 주어진다. |
10. 일이 많아서 직장과 가정에 다 잘하기가 힘들다. |
11. 여러 가지 일을 동시에 해야 한다. |
직무자율 |
12. 내 업무는 창의력을 필요로 한다. |
13. 업무관련 사항(업무의 일정, 업무량, 회의시간 등)이 예고 없이 갑작스럽게 정해지거나 바뀐다. |
14. 내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높은 수준의 기술이나 지식이 필요하다. |
15. 작업시간, 업무수행과정에서 어떤 사안에 대해 결정할 권한이 주어지며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. |
16. 나의 업무량과 작업스케줄을 스스로 조절할 수 있다. |
관계갈등 |
17. 나의 상사는 업무를 완료하는데 도움을 준다. |
18. 나의 동료는 업무를 완료하는데 도움을 준다. |
19. 직장에서 내가 힘들 때 내가 힘들다는 것을 알아주고 이해해 주는 사람이 있다. |
20. 직장생활의 고충을 함께 나눌 동료가 있다. |
직무불안정 |
21. 지금의 직장을 옮겨도 나에게 적합한 새로운 일을 쉽게 찾을 수 있다. |
22. 현재의 직장을 그만두어도 현재 수준만큼의 직업(직장)을 쉽게 구할 수 있다. |
23. 직장사정이 불안하여 미래가 불확실하다. |
24. 나의 직업은 실직하거나 해고당할 염려가 없다. |
25. 앞으로 2년 동안 현재의 내 직업을 잃을 가능성이 있다. |
26. 나의 근무조건이나 상황에 바람직하지 못한 변화(예, 구조조정)가 있었거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. |
조직체계 |
27. 우리 회사는 근무평가나 승진, 부서배치 등 인사제도가 공정하고 합리적이다. |
28. 업무수행에 필요한 인원, 공간, 시설, 장비, 훈련 등의 지원이 잘 이루어지고 있다. |
29. 우리 부서와 타 부서간에는 마찰이 없고 업무협조가 잘 이루어진다. |
30. 근로자, 간부, 경영주 모두가 직장을 위해 한마음으로 일을 한다. |
31. 일에 대한 나의 생각을 반영할 수 있는 기회와 통로가 있다. |
32. 나의 경력개발과 승진은 무난히 무난히 잘 될 것으로 예상한다. |
33. 나의 현재 직위는 나의 교육 및 경력에 비추어볼 때 적절하다. |
보상부적절 |
34. 나의 직업은 내가 평소 기대했던 것에 미치지 못한다. |
35. 나의 모든 노력과 업적을 고려할 때 내 봉급/수입은 적절하다. |
36. 나의 모든 노력과 업적을 고려할 때, 나는 직장에서 제대로 존중과 신임을 받고 있다. |
37. 나는 지금 하는 일에 흥미를 느낀다. |
38. 내 사정이 앞으로 더 좋아질 것을 생각하면 힘든 줄 모르고 일하게 된다. |
39. 나의 능력을 개발하고 발휘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. |
직장문화 |
40. 회식자리가 불편하다. |
41. 나는 기준이나 일관성이 없는 상태로 업무 지시를 받는다. |
42. 직장의 분위기가 권위적이고 수직적이다. |
43. 남성, 여성이라는 성적인 차이 때문에 불이익을 받는다. |
* 참고자료: 직무스트레스요인 측정 지침(KOSHA GUIDE H-67-2022).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.